본문 바로가기
책/2020

미디어의 이해

by goyooha 2020. 3. 18.
728x90

 

 

저자: 허버트 마셜 매클루언

편집: 테런스 고든

역자: 김상호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날짜: 2011. 04. 22.

페이지: 602p

장르: 사회과학일반

 

2020. 03. 02. ~ 2020. 03. 10. 총 9일간 독서

 

서평

나에게는 너무 어려운 책이었다. '미디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서도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그것 자체를 이해하는 데에도 힘겨웠으니까. 서울대 권장도서를 몇 권 읽다보니 내가 정말 무식하구나 하고 느낀다. 특히 과학교양서는 이해하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 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과학은 정말 어려운 것임을 새삼 느낀다.

 

메모

역자서문

나르시스의 신화를 이야기하면서, 매클루언은 그 신화가 나르시스가 자신을 사랑하게 된 이야기라고 설명하는 일반적인 설명이 틀렸다는 점을 지적한다. 사실은, 물에 비친 이미지가 자기 자신이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것이 그가 죽게 된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는 모든 기술이 지니고 있는 효과, 즉 수용자를 최면 상태에 빠지게 하는, 전형적인 마비 효과에 굴복한 것이다.

 

51p

모든 미디어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대응, 즉 "중요한 것은 미디어들이 어떻게 사용되는가다"라는 식의 대응은 기술에 관해 전혀 모르는 멍청이들이 보여 주는 감각 마비 상태다.

 

114p

이미 낡은 서구적 개인주의자의 대변자들은 오늘날까지도 앨 캡의 만화에 들장하는 불 무스 장군이나 존버치협회 회원들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들은 부족적인 것에 반대한다면서 부족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이다.

 

115p

다른 한편으로는 의식과 자각이라는 것은 우리 인간의 특권이므로, 이 특권을 은폐되어 있는 우리의 개인적, 사회적 갈등에까지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122p

그녀가 이처럼 훌륭한 '영화'에 관한 어리석은 '책'을 써서 많은 명성을 얻게 된 것은, 문학적인 미디어가 영화 미디어보다 우월하다고 단순하게 예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126p

말이란 명료화하는 기술이다. 말이 직접적인 감각 경험을 음성 상징으로 번역함으로써, 온 세상은 어떤 순간에도 드러날 수 있고 재생될 수 있게 되었다.

 

143p

예술가란 자연과학이건 인문학이건 관계없이 어떤 분야에서든, 자신이 속한 시대에서 자신의 행동과 새로운 기술이 갖는 함의를 파악해 내는 사람을 말한다. 그는 통합적인 정신의 소유자다.

 

228p

피부의 확장으로서 옷은 체온 조절 기제로뿐만 아니라 자아를 사회적으로 규정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물론 옷이 훨씬 더 피부에 가깝기도 하고 역사도 더 오래되기는 했지만, 옷과 주택은 거의 쌍둥이와 같다. 왜냐하면 주거는 우리 신체 기관 내부의 체온 조절 기제를 확장한 것이고, 옷은 신체의 외면인 피부의 직접적인 확장이기 때문이다.

 

231p

스트립쇼는 더 이상 우리에게 스릴을 안겨 주지 못한다. 누드는 덜 추상적인 사회의 청각적‧촉각적 가치들에서 스스로를 분리시켜버린, 시각적 문화에만 외설적인 자극을 줄 수 있을 뿐이다.

 

235p

문자 문화 인간, 즉 문명화된 인간은 공간을 제한하고 폐쇄해 기능들을 분리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부족적 인간은 자신의 신체 형태를 자유롭게 확장해 우주까지도 끌어들였다. 부족적 인간은 스스로 우주의 한 기관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적 기능을 신성한 에너지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받아들였다.

 

237p

왜냐하면 전문가란 거대한 오류를 향해 가고 있으면서도 세세한 잘못은 결코 저지르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280p

추상적인 시간을 만들어 내고 사람들로 하여금 배가 고파서가 아니라 "먹을 시간"이 되어서 먹게끔 만든 것은 시계 자체가 아니라 시계에 의해 강화된 문자 문화였다.

 

304p

이러는 사이에 산업과 기계 환경의 폭력은 젊은이들의 신경과 내장 속에서 살면서, 그들의 경험에 의미와 동기를 부여했다. 어떤 것을 생생하게 체험한다는 것은 직접적인 충격을 다양한 간접적 형태의 깨달음으로 번역한다는 것이다.

 

455p

전화는 왜 강한 고독감을 느끼게 하는가? 공중전화가 울리면 그 전화가 나와 관계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 때에도 왜 내가 받아야 하는 것처럼 느끼는가? 무대에서 전화벨이 울리면 관객은 왜 곧 긴장하는가? 왜 영화 장면에서 울리는 전화에는 그 정도의 긴장감을 갖지 않게 되는가? 이 모든 질문들의 답은 간단하다. 전화는 전기의 양극이 상대 극을 끌어당기듯이, 상대방의 참여를 요청하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전화는 라디오처럼 배경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은 하지 못할 것이다.

 

480p

작가나 영화감독의 일은 독자나 관객을 하나의 세계, 즉 그들 자신의 세계에서 다른 세계, 즉 활자나 필름에 의하여 만들어진 세계로 옮겨 놓는 것이다.

 

482p

쉽게 말해, 비문자 문화적인 사람들은 우리가 태생적으로 인간에게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원근감이나 거리감을 만드는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509p

어두운 방에 앉아서 말하면, 말은 갑자기 새로운 의미와 함께 전과는 다른 결을 가지게 된다. 르코르뷔지에는 건물이 밤에 가장 멋지게 느껴진다고 말했는데, 말은 어둠 속에서 그 건물보다도 더 풍요로워진다.

 

534p

차가운 텔레비전 미디어의 팬들은 그들의 스타를 배역 속의 모습으로 만나기를 원하고, 반면 영화 팬들은 영화 속 스타들의 실제 모습을 보고 싶어 하는 것이다.

'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대중 평전 2: 역사는 진보한다  (0) 2020.03.18
김대중 평전 1: 행동하는 양심으로  (0) 2020.03.18
카오스  (0) 2020.03.18
금테 안경  (0) 2020.03.18
서던리치 3: 빛의 세계  (0) 2020.03.18

댓글